본문 바로가기

카이로 회담3

카이로 회담, 선언 - `한반도의 독립`이 왜 언급될 수 있었나 [이전글] 카이로 회담 - 카이로 선언문이 만들어진 과정 카이로 회담 시리즈의 마지막 칼럼입니다! 앞의 두 칼럼에서는 카이로 회담의 배경과 의의, 그리고 `카이로 선언문`이 만들어진 상세 과정, 내용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카이로 선언`에 `한반도의 독립` 어떤 사유로 언급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양파 껍질 까듯이 하나씩 벗겨 나가 보겠습니다. 카이로 선언에 `한반도의 독립`의 문장이 명확히 언급되게 된 직접적인 요인은 바로 장제스의 적극적 발언 때문이다. 카이로 선언의 최초 원안인 `홉킨스 원안`에서부터 이미 `한반도의 독립`은 아주 명확하게 언급이 된다. 그 이유는 1956년 대만정부가 미국 국무부(FRUS; Foreign Relati.. 2022. 10. 7.
카이로 회담 - 카이로 선언문이 만들어진 과정 (이전 글) 카이로 회담, 선언 - 처음으로 국제사회에서 한반도 독립이 언급되다 첫번째 이야기에서 카이로 회담이 열린 배경과, `카이로 선언`의 의미(특히 한반도의 독립)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번 칼럼에서는 카이로 선언문이 만들어진 과정과 내용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앞에서도 살폈지만 카이로 선언문은 제1차 세계대전 개시 이후에 일본국이 탈취한 또는 점령한 태평양 도서들의 박탈(이하 제1항), 만주, 타이완, 팽호 군도 등 중국 관련 영토들의 반환(이하 제2항), 폭력과 탐욕으로 약탈한 모든 지역에서의 일복의 축출(이하 제3항), 그리고 한반도의 독립(이하 제4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 내용을 기억하며 이제부터 카이로 선언문이 만들어진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 홉킨.. 2022. 10. 4.
카이로 회담, 선언 - 처음으로 국제사회에서 한반도 독립이 언급되다 카이로 회담에 대해 살핌으로서, 대한민국이 어떻게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독립하여 현재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까지 이르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일병탄, 일제강점기] 현재의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 우리는 뼈아픈 일제강점기를 겪었습니다. 대한제국이 경술년에 일본에 의해 강제로 병탄(倂呑, 1910.8.29.)* 당하여,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기 까지 약 35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 한일병합(韓日倂合) 이란 용어로 종종 쓰이나, 일본 입장에서 쓰여진 말로 사용을 지양하는 편이 낫겠다. ** 일본의 불합리한 침략을 강조하기 위해선, 경술국치, 한일병탄, 국권찬탈 이란 말이 더 적합하겠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일제강점으로부터 벗어나 독립을 맞이하게 되었는가. 이에 대한 .. 2022. 10. 3.